hyper-v vm내에서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가상스위치 생성 및 설정이 필요하다

외부 (External) – 물리적인 network card를 통하여 외부의 네트워크와 통신이 필요한 경우 [외부] 설정을 하여 가상스위치를 생성하면 된다

위 이미지처럼 보통은 통신에 사용할 랜카드를 지정하여 가상스위치를 생성한다 물리적카드에 설정된 같은 대역을 사용할수가 있게 된다
예를들어 물리적 카드가 192.168.10.10 이 할당이 되었다면 외부로 가상스위치 생성시 192.168.10.x 대역을 사용할수 있게 된다 물리적카드가 공유기에 연결된 경우(dhcp사용경우) 192.168.10.x 대역으로 ip를 자동으로 받아오게 된다 dhcp가 아닌 경우 vm내에서 ip를 지정하여 사용을 할수가 있다
내부(internal) 가상스위치 생성

기본적으로 Default Switch 로 자동 생성이 되는데 내부 네트워크로 잡힌다
물리적인pc에서 vm으로 별도의 대역으로 dhcp를 해주게 된다 이경우 물리적인PC <-> vm 간에 통신이 되고 외부 네트워크로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물리적인PC를 통하여 인터넷을 공유 하게 된다
개인(private) 가상스위치 vm-vm통신의 경우 사용 외부네트워크 차단이 되고 특수한경우 사용이 된다
hyper-v 가상 스위치 설정방법